박근주

PARK KEUN JU



< D E E M >



JULY 15 - AUGUST 10,  2023






Introduction

사진 작업을 회화처럼 표현해냄과 동시에 일상의 공간을 추상적 구상으로 보여주는 미니멀 추상 사진가 박근주


기술의 개발로 거짓과 사실이 혼돈되며, 사실이지만 입장의 차이로 사실이 아닐 수도 있는 사회에 우리는 속해있다. 

사진이 지닌 현실성, 사실성, 시간성을 사진에서 찾기 힘들다면 관람자는 과연 그것을 사진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까. 

시간적인 현상에 매료가 되기 쉬운 사회에서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면 어떨까?

작가는 이처럼 보이는 부분보다 본질과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해 관객에게 궁금증을 유발하려 한다.

사진이 가진 속성 또한 의심 받으며 모호한 사회 속 본질이라는 것에 작가는 집중한다.


박근주는 사물을 회화의 세계로 인지하는 착시적 경험을 제공한다. 

기존의 고정적 관점에 의도적으로 의문을 제기하면서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맞닥뜨리는 일상적 환경이나 상식이라 여기는 관점에 대해 과연 그것이 진실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착시와 착각에 대한 인식은 눈으로 보이는 1차원적인 것에 대한 의심을 불러일으키고 그것은 다시 근본적 존재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결국 대상에 대한 의문은 사실과 진리에 대한 탐구와 열망으로 표출된다.


작가는 실제와 환영 사이의 착각, 바라보는 인식의 방법에 질문을 던지면서 동시에 본질적이고 본연적인 형상과 상태의 아름다움을 드러내고자 한다.

그는 물질과 비물질적인 배치를 통해 기하학적 표현 방법에 대해 고민을 한다. 편집 과정의 최소한의 개입을 통해 작품은 실제성을 가지면서도 회화적인 요소를 의도적으로 드러내어 그것이 실재한 것인지 그림인지에 대해 관객으로 하여금 사진이라는 관념에서 자유롭게 하고자 한다. 그 관점에서 자유로워질 때 관람객들은 관점에 의해 왜곡되지 않는 근본의 아름다움과 진리를 마주할 수 있게 된다. 

작품을 관람하는 과정이 관람자들에게는 순수한 진리를 생각하게 하는 명상의 순간을 제공한다.


작가가 마련한 의도적 장치인 작품과 관람자 사이에 존재하는 되돌아보기, 되살펴보기, 다시 생각해 보기는 관람자의 지극히 개인적인 사색적 사고과정을 공간에서 느낄 수 있게 만든다.

관람자들은 작가가 만들어 낸 시공간이 혼동되는 작품 앞에서 개인적 성찰과 경험을 마치 종교적 공간에서 나오게 되는 감정적 경험으로 승화되는 체험을 하게 된다.


About the Artwork

사진이 지닌 현실성, 사실성, 시간성을 찾기 힘들다면 관객은 사진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까?

시각적인 현상에 매료가 되기 쉬운 사회에서 보이는 것에 전부가 아니라면 어떨까?

보이는 부분보다는 본질과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해 관객에게 궁금증을 유발하려 한다.


기술의 개발로 거짓과 사실이 혼돈되고 사실이지만 입장의 차이로 사실일 수도 아닐수도 있는 사회에 속해있다.

사진이 가진 속성 또한 의심받으며 모호한 사회 속 본질이라는 것에 집중하려고 한다.


착시, 착각에 대한 인식은 눈으로 보여지는 1차원적인 것에 대한 의심을 불러일으키고 그것은 다시 근본적 존재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대상에 대한 의문은 결국 사실과 진리에 대한 탐구 혹은 열망으로 표출되어진다.


기하학적 표현방법은 물질과 비물질적인 배치로 두 가지에 대한 질문과 의문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사진 편집 과정에서 최소한의 편집과 색의 조절을 통해 실제성을 가지면서도 회화적인 요소를 취하며 실제한 것인지 그림인지에 대해 관객으로 사진이라는 관념에서 자유롭게 하고자 한다.




Introduction

Park Geun-joo, a minimal abstract photographer who expresses photography like a painting and shows everyday space as an abstract idea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confuses lies and facts, and we belong to a society that is true but may not be true due to differences in positions. 

If it is difficult to find the reality, realism, and time of a picture in the picture, can the viewer interpret it as a picture. 

What if it's not all you see in a society that's prone to fascination with the phenomenon of time?

The artist tries to arouse curiosity in the audience about the essence and the invisible part rather than the part that looks like this.

The artist focuses on the nature of the picture, which is also suspected and is the essence of an ambiguous society.


Park Geun-ju provides an optical experience of recognizing objects as the world of painting. 

While deliberately questioning the existing fixed perspective, it asks whether it is true about the perspective we regard as common sense or the everyday environment we encounter casually.

The perception of illusion and illusion raises doubts about the one-dimensional thing that is visible, which in turn leads to the question of its fundamental existence.

And in the end, questions about the object are expressed as an exploration and desire for facts and truth.


The artist wants to reveal the beauty of the essential and natural shape and state while asking questions about the illusion between reality and vision and the way of perception.

He thinks about geometric representation through material and non-material arrangement. Through minimal intervention in the editing process, the work intentionally reveals pictorial elements while having practicality, freeing the audience from the idea of photography as to whether they are real or pictures. When free from that point of view, visitors can face the fundamental beauty and truth that are not distorted by the point of view. 

The process of viewing the work provides viewers with a moment of meditation that makes them think of pure truth.


Reflecting, recalling, and rethinking between the work and the viewer, which is an intentional device prepared by the artist, makes the viewer feel the very personal thought process in space.

Visitors experience sublimating personal reflection and experience into emotional experiences that come out of a religious space in front of works that confuse time and space created by the artist.

About the Artwork

If it is difficult to find the reality, realism, and time of a picture, can the audience interpret it as a picture?
What if it's not all about what you see in a society that's prone to being fascinated by visual phenomena?
Rather than the visible part, it tries to arouse curiosity in the audience about the essence and the invisible part.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lies and facts are confused and belong to a society that may or may not be true due to differences in positions.
The attributes of photography are also suspected and try to focus on the essence of an ambiguous society.

The perception of illusion and illusion raises doubts about the one-dimensional thing seen by the eye, which in turn leads to the question of the fundamental existence.
And questions about the object are eventually expressed as an inquiry or desire for facts and truth.

The geometric expression method is a matter and non-material arrangement, and questions and questions about two things are considered.
Through minimal editing and color adjustment in the photo editing process, we want to take pictorial elements while having realism, and to be free from the idea of photography as an audience as to whether it is real or a picture.




Artwork

UTO4 / 40 X 40 cm / Pigment print / 2023 Limited Edition of 10
UTO4 / 40 X 40 cm / Pigment print / 2023 Limited Edition of 10
UTO / 40 X 40 cm / Pigment print / 2022 Limited Edition of 10
UTO / 40 X 40 cm / Pigment print / 2022 Limited Edition of 10
CROWN / 40 X 40 cm / Pigment print / 2023 Limited Edition of 10
CROWN / 40 X 40 cm / Pigment print / 2023 Limited Edition of 10
Irregularity / 152.4 X 152.4 cm / Pigment print / 2021 Limited Edition of 5
Irregularity / 152.4 X 152.4 cm / Pigment print / 2021 Limited Edition of 5
UTO2 / 40 X 40 cm / Pigment print / 2022 Limited Edition of 10
UTO2 / 40 X 40 cm / Pigment print / 2022 Limited Edition of 10
Triangular cross / 127 X 102 cm / Pigment print / 2021 Limitied Edition of 5
Triangular cross / 127 X 102 cm / Pigment print / 2021 Limitied Edition of 5
UTO5 / 40 X 40 cm / Pigment print / Limitied Edition of 10
UTO5 / 40 X 40 cm / Pigment print / Limitied Edition of 10



Profile


박근주

PARK KEUN JU


수상


2022 New Perspectives SAACHI ART, 영국

2022 울산아트페어 신진작가 특별전 선정 HE SPECIAL EDITION CATALOG

2020 MINIMALIST PHOTOGRAPHY AWARDS FINE-ART CATEGORY 입상, 독일

2020 Artprize Gangnam 우수작, 서울


개인전


2022 실제의 실재, 와우갤러리, 서울

2021 Following perspectives, adm 갤러리, 서울

2020 IDAD AND THE REAL (현실이상), 돌담갤러리, 제주

2019 The other side (일상이면), H Contemporary Gallery, 경기도


단체전


2021 제주아트페어 특별전

2020 Artprize Gangnam 논현동 가구거리, 서울

2019 cmoma 공공미술함께할래 2015-2018 경기도 미술관, 경기도

2019 cityscape cica 미술관, 경기도

2018 seea 성남아트센터, 경기도


프로젝트


마을재생 프로젝트 공공미술 (동두천 생연동) 2018 경기도 미술관


작품소장


동두천 시청

개인소장 - 런던, 멕시코, 한국